태풍은 대기와 바다 사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형성되며, 여러 요인이 결합하여 태풍이 형성됩니다. 태풍의 발생원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태풍이란?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으로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는 것을 말한다. 바닷물의 따뜻한 해류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상승 기류의 압박을 크게 받았을 때 나타나는 강한 비바람 자연 현상(자연재해) 을 말한다.
태풍은 적도쪽 지방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생기는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저위도 지방의 따뜻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동하는 기상 현상이다.
태풍 진행 과정
태풍은 왜 발생할까?
1. 따뜻한 해수면 온도
태풍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의 상승과 함께 발생합니다. 따뜻한 해수면은 공기를 가열하여 상승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바다의 표면 온도가 26℃(79°F) 이상인 지역에서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고온과 저압 상류 공기
태풍이 발생 하려면, 대기의 높은 고도에서 낮은 압력을 가진 상류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 상류 공기가 지표면의 따뜻한 바닷물 위로 상승하면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결하고 열이 방출됩니다. 이러한 열이 대류층을 높인 후, 기압차에 의해 바람이 형성됩니다.
3. 지구의 회전 (코리올리 효과)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전축 주위에서 회전하는 대기와 해류를 발생시킵니다. 태풍은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회전하는 대규모 대기 순환의 결과로 발생하며, 태풍의 회전 방향은 지구 회전과 반대 방향입니다.
4. 습도와 수증기 압력 차이
태풍의 발생에는 대기의 상승과 함께 습도와 수증기 압력의 차이가 관련됩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수증기 응결로 인해 열이 방출되어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더욱 상승하게 되어 태풍의 회전과 발달을 촉진합니다.
5. 저압 중심의 형성과 회전:
태풍은 저압 중심의 형성과 이를 중심으로 한 회전과정을 거칩니다. 바람이 회전하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열과 수증기가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태풍이 강화됩니다.
태풍 이름은 어떻게 지어질까?
"매미" , "볼레로" 등 태풍에는 각각의 이름이 지어져 있다. 왜 이름들을 이렇게 지었을까?
보통 재난이 발생하면 그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이름과 발생 연도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하지만 태풍은 다른 재해와 달리 여러 지역을 거치기 때문에 특정 지역을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여러 태풍이 동시에 발생하기도 함) 그렇기 때문에 편의상 태풍에 이름을 붙여야 하는데, 현재 여러 국가의 기상청과 연구기관이 참여한 세계 기상기구(WMO)에서 매년 작명표를 만드는데 이 작명표에는 여러 이름들이 순서대로 적혀 있습니다.(이름 목록은 알파벳순 또는 다른 기준에 따라 정렬) 태풍이 발생한 순서대로 이 작명표의 이름을 부여받습니다.
가끔씩 특별한 태풍이나 기상 현상에 대한 이름이 부여되는데, 이는 해당 태풍이나 현상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름이 같다고 같은 속성의 태풍이 아닙니다. 그냥 단순히 비슷한 시간대에 발생한 태풍들만 구분할 수 있으면 되므로, 굳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일어났던 모든 태풍에 각기 다 다른 이름을 붙여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2023년 태풍 "카눈"
7월 28일에는 카눈이 발생. 8월 부터 북태평양 고기압의 수축과 필리핀 해협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많이 발생이 예상에 따라 본격적인 태풍 시즌이 시작 될 예정이다. 한편 카눈은 오키나와를 큰 피해를 입히고 대한민국을 상륙하여 8월 11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현재 시점 8월 10일 ~ 8월 11일로 태풍은 지나갔다.
태풍 예방 법
태풍은 자연 재해로서 강력한 바람과 강한 비로 인해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태풍에 대비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 및 대비 방법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기상 예보와 경보 확인
기상청의 태풍 예보와 경보를 주시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확인 해야합니다. 태풍의 도착 시간, 위치 및 강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대비할 수 있습니다.
2. 가구 및 집 안전 확인
집 주변의 물건이나 구조물이 태풍에 의해 날아갈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 해야합니다. 창문을 덮거나 강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내부가 안전하도록 합니다. 베란다 난간에 있는 화분 등 집 내부로 들여 놓아야 합니다.
3. 비상 대피품 준비: 음식, 물, 의약품, 준비된 의류, 전화 충전기 등의 비상 대피품을 준비 해야합니다. 최소한 72시간 동안의 생활에 필요한 물과 식품을 보유해야 합니다.
4. 목재 및 유리 재료 보호: 태풍에 의해 날아가거나 파손될 수 있는 목재나 유리 재료를 보호하세요. 추가적인 강화재를 사용하거나 테이핑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신문지에 물을 뭍혀 베란다 창문에 막는 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보험 가입: 부동산, 자동차 등의 보험을 가입하여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태풍의 발생은 따뜻한 해수면 온도, 고온과 저압 상류 공기의 조합, 코리올리 효과, 습도와 수증기 압력 차이 등의 요인이 결합하여 발생합니다. 이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태풍이 형성되며, 그 규모와 강도는 여러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올해 태풍도 모쪼록 안전하게 대비하여 재산,인명 피해 없길 바랍니다^^
'YoungPro 호기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에서 꼬르륵 소리는 왜 날까? (Feat. 꼬르륵 소리 참는 법) (0) | 2023.08.21 |
---|---|
양파를 자르면(썰면) 왜 눈물이 날까? (0) | 2023.08.09 |
지하철 역이름은 어떻게 지어질까? (지하철 역 이름) (0) | 2023.08.03 |
등유 경유 휘발유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 (0) | 2023.08.02 |
네잎클로버가 행운을 뜻하는 이유 (네잎클로버 뜻/유래) (0) | 2023.08.01 |